728x90
e스포츠는 이제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,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정식 스포츠 종목입니다. 하지만 e스포츠 중계를 보다 보면 "CC", "메타", "OP", "킬뎃" 같은 용어들이 자주 등장해 초보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e스포츠에서 자주 사용되는 필수 용어 30가지를 쉽게 정리해 보았습니다. 게임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실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끝까지 읽어보세요! 🎮🔥
1. e스포츠 기본 용어
① e스포츠(eSports)
- "Electronic Sports"의 줄임말로, 비디오 게임을 통한 경쟁 스포츠를 의미.
- 대표적인 종목: 리그 오브 레전드(LoL), 배틀그라운드(PUBG), 오버워치, 스타크래프트, 카운터 스트라이크(CS:GO), 발로란트, 피파(FIFA) 등.
② 메타(Meta, Most Effective Tactics Available)
- 특정 시즌이나 패치에서 가장 효율적인 전략이나 전술.
- 예: "이번 패치에서는 원거리 딜러 중심의 메타가 유행하고 있어."
③ OP (Overpowered, 오피)
- 너무 강한 캐릭터, 무기, 스킬 등을 의미.
- OP 캐릭터는 보통 패치 후 너프(Nerf) 됨.
④ 너프(Nerf) & 버프(Buff)
- 너프(Nerf): 특정 캐릭터나 아이템의 능력을 낮추는 것.
- 버프(Buff): 특정 캐릭터나 아이템의 능력을 강화하는 것.
- 예: "이번 패치에서 원거리 챔피언들이 너프를 먹었어."
⑤ 픽(Pick) & 밴(Ban)
- 픽(Pick): 게임에서 캐릭터(챔피언, 영웅)를 선택하는 것.
- 밴(Ban): 특정 캐릭터를 상대가 선택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.
- e스포츠 경기에서는 "픽&밴" 단계가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함.
2. 게임 플레이 관련 용어
⑥ CC (Crowd Control, 군중 제어)
- 상대방을 움직이지 못하게 하거나 행동을 제한하는 스킬.
- 대표적인 CC기: 스턴(Stun), 슬로우(Slow), 침묵(Silence), 넉백(Knockback)
⑦ DPS (Damage Per Second, 초당 공격력)
- 초당 얼마나 많은 피해를 줄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.
- DPS 캐릭터: 높은 지속 화력을 가진 챔피언(예: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애쉬, 트위치).
⑧ 딜(Deal, Damage)
- 상대에게 가하는 피해량을 의미.
- 딜러(Dealer): 높은 피해를 줄 수 있는 역할을 맡은 캐릭터.
⑨ 탱커(Tanker, 탱)
- 체력이 많고 방어력이 높은 캐릭터.
- 팀의 최전방에서 적의 공격을 받아내는 역할.
⑩ 킬뎃(K/D, Kill/Death ratio)
- 킬(Kill)과 데스(Death)의 비율.
- 예: "내 킬뎃이 5.0이라서 이번 판 캐리했어!" (5킬 1데스)
3. 전술 및 전략 용어
⑪ 캐리(Carry)
- 팀을 승리로 이끄는 플레이어.
- "이 게임은 내가 캐리했다!" → 한 명이 뛰어난 실력을 보여줬다는 의미.
⑫ 로밍(Roaming)
- 특정 라인에서 벗어나 팀원을 지원하는 플레이.
- 로밍 플레이를 잘하면 팀 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음.
⑬ 스노우볼(Snowball Effect, 스노우볼링)
- 게임 초반 이득을 본 후, 점점 격차를 벌려 승리를 굳히는 전략.
- 예: "초반 3킬 따서 스노우볼 굴려서 이겼다."
⑭ 백도어(Backdoor)
- 적이 방어하는 동안 몰래 본진(넥서스, 타워 등)을 파괴하는 전략.
- 예: "페이커가 백도어로 넥서스를 부쉈다!"
⑮ 한타(한타전, Team Fight)
- 팀 전체가 모여 싸우는 대규모 전투.
- 한타에서 이기면 승리를 크게 가져올 수 있음.
4. FPS(1인칭 슈팅 게임) 관련 용어
⑯ 헤드샷(Headshot)
- 상대의 머리를 맞춰 한 방에 처치하는 샷.
- FPS 게임에서 헤드샷은 필수 기술!
⑰ 캠핑(Camping)
- 특정 위치에 숨어 있다가 상대를 기습하는 플레이.
- 예: "저 사람 캠핑 너무 심하네!"
⑱ 리스폰(Respawn)
- 죽은 후 다시 살아나는 것.
⑲ 에임(Aim)
- 총을 쏘기 위한 조준 기술.
⑳ 피킹(Peeking)
- 벽이나 엄폐물을 이용해 적을 슬쩍 보며 사격하는 기술.
5. 게임 방송 및 스트리밍 용어
㉑ 스트리머(Streamer)
- 게임을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사람.
- 대표적인 플랫폼: 트위치, 유튜브, 아프리카TV
㉒ 트롤(Troll)
- 일부러 팀을 방해하는 플레이어.
- 예: "팀에 트롤 있어서 졌어."
㉓ 고인물(Old Player, Veteran)
- 게임을 오래 해서 매우 숙련된 플레이어.
㉔ 뉴비(Newbie, 신입)
- 게임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초보자.
㉕ 핵(Hack, 치트)
- 불법적인 프로그램을 사용해 에임봇, 월핵 등 부정 행위를 하는 것.
6. 기타 게임 용어
㉖ OP.GG
- 리그 오브 레전드와 같은 게임의 전적 검색 사이트.
- "내 전적 OP.GG에서 검색해 봐."
㉗ GG (Good Game)
- 게임이 끝났을 때 매너 있게 하는 인사.
㉘ GGEZ (Good Game Easy)
- 상대를 조롱하는 의미(비매너 표현).
㉙ FF (Forfeit, 항복)
- 게임을 포기하고 항복하는 것.
- 예: "이번 판 FF 치자." (이번 게임 포기하자)
㉚ 배틀패스(Battle Pass)
- 일정 기간 동안 미션을 수행하고 보상을 받는 시스템.
- 대부분의 게임에서 사용됨.
🎮 결론
이제 e스포츠를 볼 때 "메타", "CC기", "OP", "한타" 같은 용어가 나와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? 😊
게임을 더 깊이 이해하면 더욱 재미있게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. 혹시 추가로 알고 싶은 e스포츠 용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🎮🔥
'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럭비 초보 가이드: 기본 규칙과 알아두어야 할 용어 정리 (0) | 2025.02.22 |
---|---|
아이스하키 기본 용어와 경기 규칙 한눈에 보기 (0) | 2025.02.21 |
복싱 용어 정리: TKO, KO, 판정승 차이점은? (0) | 2025.02.21 |
테니스 경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와 의미 (0) | 2025.02.20 |
골프 초보를 위한 필수 용어 30가지 총정리 (0) | 2025.02.2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