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배드민턴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스포츠이지만, 경기 중계나 해설을 들으면 “클리어”, “드롭샷”, “스매시” 같은 생소한 용어들이 자주 등장합니다.
이 글에서는 배드민턴을 처음 접하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필수 용어와 경기 규칙을 정리해 보았습니다.
이제 배드민턴을 더 재미있게 즐길 준비가 되셨나요? 😊
1. 배드민턴 경기의 기본 용어
① 라켓(Racket)
- 배드민턴 공(셔틀콕)을 치는 도구
- 무게는 약 80~100g 정도로 가볍고, 카본 소재가 많이 사용됨
② 셔틀콕(Shuttlecock, Birdie)
- 배드민턴 경기에서 사용하는 공
- 깃털로 만들어져 있으며, 공기 저항을 받아 천천히 떨어짐
③ 네트(Net)
- 코트 중앙에 위치한 가로막
- 높이는 단식 1.524m, 복식 1.55m
④ 코트(Court)
- 배드민턴 경기가 진행되는 경기장
- 단식과 복식의 코트 크기가 다름
- 단식: 13.4m × 5.18m
- 복식: 13.4m × 6.1m
⑤ 서비스(Service)
- 경기를 시작하거나 점수를 얻은 후 셔틀콕을 처음으로 상대 코트로 넘기는 행위
2. 배드민턴의 주요 경기 규칙
① 경기 방식
- 배드민턴은 단식(Singles) 과 복식(Doubles) 경기로 나뉨
- 21점 랠리 포인트 시스템 적용 (2점 차 승리)
- 3세트 경기에서 2세트를 먼저 가져간 선수(팀)가 승리
② 서비스 규칙
- 서비스는 대각선 방향으로 넣어야 함
- 셔틀콕이 네트에 걸리지 않고 상대 코트 안으로 들어가야 함
- 서브할 때 허리보다 높이 들고 치면 반칙
- 서비스 시 발을 움직이면 반칙(풋 폴트, Foot Fault)
③ 반칙(폴트, Fault)
- 셔틀콕이 코트 밖으로 나가거나 네트에 걸릴 경우
- 같은 선수(팀)가 연속해서 두 번 셔틀콕을 칠 경우
- 서비스 시 상대가 준비되기 전에 공을 치는 경우
3. 배드민턴 공격 기술 용어
① 클리어(Clear)
- 셔틀콕을 상대 코트의 가장 뒤쪽까지 보내는 기술
- 수비형 클리어: 상대를 뒤로 물러나게 하는 전략
- 공격형 클리어: 빠르고 낮게 보내 상대의 반격을 방해하는 기술
② 드롭샷(Drop Shot)
- 네트 가까이에 부드럽게 떨어뜨리는 공격 기술
- 상대를 앞으로 끌어내어 뒤쪽 공간을 노리는 전략
③ 스매시(Smash)
- 강하게 내리꽂는 공격 기술
- 배드민턴에서 가장 위력적인 공격 방법 중 하나
④ 헤어핀(Hairpin Shot)
- 네트 근처에서 상대 코트로 살짝 넘기는 섬세한 기술
- 네트 플레이에서 중요한 기술 중 하나
⑤ 드리븐 샷(Drive Shot)
- 셔틀콕을 낮고 빠르게 직선으로 보내는 기술
- 복식 경기에서 많이 사용됨
4. 배드민턴 수비 기술 용어
① 리시브(Receive)
- 상대가 서브를 넣을 때 받는 기술
② 리턴(Return)
- 상대가 친 셔틀콕을 다시 되받아치는 행위
③ 롱 리턴(Long Return)
- 상대 스매시나 공격을 받아서 코트 끝까지 보내는 기술
④ 리프트(Lift)
- 네트 근처에서 상대의 드롭샷을 들어 올려 코트 뒤로 보내는 기술
⑤ 블록(Block)
- 상대의 강한 스매시를 네트 근처에 살짝 떨어뜨리는 기술
5. 배드민턴 경기 전략 용어
① 풋워크(Footwork)
- 빠르게 움직이며 셔틀콕을 받아칠 수 있도록 하는 발 움직임 기술
- 좋은 풋워크가 경기력에 큰 영향을 줌
② 페인트(Faint, Trick Shot)
- 상대를 속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방향을 바꾸는 플레이
③ 랠리(Rally)
- 서비스 이후 셔틀콕이 계속 오가며 승부가 진행되는 과정
④ 언더핸드(Underhand)
- 허리 아래에서 셔틀콕을 치는 방법
⑤ 오버헤드(Overhead)
- 머리 위에서 셔틀콕을 치는 기술
6. 배드민턴 심판 및 경기 관련 용어
① 주심(Umpire)
- 경기의 전반적인 진행을 관리하는 심판
② 선심(Line Judge)
- 셔틀콕이 코트 안으로 들어왔는지 판단하는 심판
③ 인(In) & 아웃(Out)
- 인: 셔틀콕이 코트 안으로 떨어지는 경우
- 아웃: 셔틀콕이 코트 바깥으로 벗어난 경우
④ 챌린지(Challenge System)
- 선수나 팀이 심판 판정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 제도
- 일부 국제 대회에서는 호크아이(Hawk-Eye) 시스템을 활용
7. 배드민턴의 주요 경기 대회
① 올림픽 배드민턴(Badminton at the Olympics)
-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
② 세계배드민턴연맹(BWF, Badminton World Federation)
- 국제 배드민턴 대회를 주관하는 기관
③ 토마스컵(Thomas Cup)
- 남자 국가대표 배드민턴 세계 대항전
④ 우버컵(Uber Cup)
- 여자 국가대표 배드민턴 세계 대항전
⑤ 수디르만컵(Sudirman Cup)
- 남녀 혼합 국가대표 경기
🏸 결론
배드민턴은 단순한 운동이 아니라, 다양한 전략과 기술이 필요한 스포츠입니다. 이번 글에서 소개한 배드민턴 용어와 규칙을 익히면, 경기를 더 깊이 이해하고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.
이제 배드민턴 경기를 볼 때 “드롭샷”, “클리어”, “스매시” 같은 용어가 나와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겠죠? 😊
혹시 추가로 알고 싶은 배드민턴 용어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🏸🔥
'잡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니스 경기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와 의미 (0) | 2025.02.20 |
---|---|
골프 초보를 위한 필수 용어 30가지 총정리 (0) | 2025.02.20 |
야구 용어 총정리: 규칙과 함께 배우는 핵심 개념 (0) | 2025.02.19 |
농구에서 꼭 알아야 할 50가지 전문 용어 (0) | 2025.02.19 |
축구 필수 용어 정리: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가이드 (0) | 2025.02.19 |